알림

닫기
2023년 국외 한국어교원(K-티처) 프로그램 과목 안내(총 57차시)
국외 한국어 교원(K-티처) 프로그램은 이론 과목과 실습 과목을 모두 수강하여야 합니다.

이론 과목

이론 교과 과정 안내 상세 | 구분, 과목명, 강사, 시수, 차시별 내용으로 구성됨
구분 과목명 강사 시수 차시별 내용
이론 과정
한국어학 개론 김호정 3차시 (1) 한국어의 특성과 말소리
(2) 한국어 단어와 문장
(3) 한국어 문법 요소의 의미 기능
한국어 화용론 이정란 3차시 (1) 화용론과 화용 교육
(2) 화행
(3) 함축
한국어의 역사 김양진 3차시 (1) 한국어사의 기초 개념
(2) 한국어의 외사
(3) 한국어 변화의 내적 조건
한국어 문법 교육론 방성원 6차시 (1)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목표
(2) 한국어 문법 교육의 내용
(3)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모형
(4) 문법 항목의 도입과 제시
(5) 문법 항목의 연습
(6) 문법 항목의 사용
한국어 교수법 이준호 6차시 (1) 20세기의 주요 교수법
(2) 대안적 교수법
(3) 80년대에 등장한 교수법
(4) 의사소통적 접근법에 근거한 교수법
(5) 교수법, 교수요목, 그리고 교재
(6) 과제 중심 교수요목
한국어 평가론 원미진 6차시 (1) 평가의 개념과 유형
(2) 평가의 요인과 개발 절차
(3) 평가 문항 제작과 평가 결과 해석
(4) 한국어 능력 평가
(5) 듣기/읽기 평가
(6) 말하기/쓰기 평가
27차시

실습 과목

실습 교과 과정 안내 상세 | 구분, 과목명, 강사, 시수, 차시별 내용으로 구성됨
구분 과목명 강사 시수 차시별 내용
한국어교육
실습
이론
교수 설계와 교실 수업 운영 김수영 3차시 (1) 한국어교육 실습이란
(2) 한국어 수업 설계
(3) 한국어 교실 수업 운영
한국어 교재와 교구 활용 김정훈 4차시 (1) 교재에 대한 이해와 교재 선정
(2) 한국어 교재의 유형과 특징
(3) 교구에 대한 이해와 활용
(4) 멀티미디어 교구에 대한 이해와 활용
한국어교육 실습 이론 송금숙 3차시 (1) 한국어 교사와 교사 교육
(2) 한국어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
(3) 한국어 교사로서의 반성적 성찰
한국어
수업의
이해
초급 통합 수업 및 분석 김수영
김미숙
6차시 (1) 초급 통합 수업의 실제1
(2) 초급 통합 수업의 실제2
(3) 초급 통합 수업의 실제3
(4) 초급 통합 수업의 이해1
(5) 초급 통합 수업의 이해2
(6) 초급 통합 수업의 이해3
중고급 통합 수업 및 분석 송금숙
백은지
4차시 (1) 중고급 통합 수업의 실제1
(2) 중고급 통합 수업의 실제2
(3) 중고급 통합 수업의 실제3
(4) 중고급 통합 수업의 이해
유아
아동
청소년
학습자 대상
수업의
이해
아동‧청소년 학습자의 이해 강남욱
김혜민
3차시 (1) 아동‧청소년 학습자의 이해1
(2) 아동‧청소년 학습자의 이해2
(3) 아동‧청소년 대상 수업 운영의 특징
아동‧청소년 대상 수업 운영 서현원 2차시 (1) 이야기의 흐름 파악하기
(2) 정확하고 재미나게 이야기 낭독하기
유아 대상 수업 운영 김한주 2차시 (1) 대상에 맞는 반말 존댓말 사용하기
(2) 계절과 관련된 이야기하기
유아‧아동‧청소년 대상 한국어교육 분석 강남욱
서현원
김한주
3차시 (1) 초등 수업에 대한 리뷰
(2) 유아 수업에 대한 리뷰
(3) 종합 대담
30차시
맨위로